무식스택

무식스택

  • 분류 전체보기 (80)
    • 레터스투미 (0)
    • 개발 (80)
      • 꿀팁 (1)
      • Android (48)
      • 데이터 (2)
      • 최적화 (11)
      • Kotlin (17)
      • Flutter (1)
    • 취미 (0)
      • 음악 (0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무식스택

컨텐츠 검색

태그

코틀린 ADsP 데이터분석 DI 코루틴 데이터분석준전문가 Firebase 빅데이터 compose android CI/CD MVVM 모바일 Kotlin Coroutine r Network 네트워크 안드로이드 Fastlane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아카이브

MVVM(2)

  • Viewmodel / manage string res

    Solution! stringres를 사용하는 방법sealed class AppString{ data class Res(@StringRes val resId: Int, vararg val arguments: Any): AppString() data class Quantity(@StringRes val quantityResId: Int, quantity): AppString data class Text(val value: String): AppString() } 이제 새 AppString클래스는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ViewModel에서 View까지 다양한 유형의 문자열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며, AppString클래스와 해당 내용이 POJO(또는 POKO)이므로 리소스를 포함할 필요 없이 단위 테..

    2023.10.23
  • DI(종속 항목 삽입)

    MVVM을 언제까지 외워서만 할 순 없다..... DI가 신기술은 아니고, 그래서 기술 리뷰로 들어가서도 안 되는 것 같지만 일단 여기 말곤 쓸 데가 없으니 메모한다. DI (종속 항목 삽입) / (의존성 주입) : 외부에서 의존 객체를 생성하여 넘기는 것 1. 의존성 파라미터를 생성자에 작성하지 않아도 되므로, 플레이트 코드를 줄일 수 있음. 2. Interface에 구현체를 쉽게 교체하면서 적절한 행동의 정의가 가능. 테스트 유용해짐. 대충 이래서 쓴단다. 근데 뭔 말인지...잘 모르겠다. 그래서 예시를 보기로 했다. 아래는 종속 항목 삽입이 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이다. class Car { private val engine = Engine() fun start() { engin..

    2022.05.12
이전
1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